MMF 통장 매도시 이자수익에 대한 원천세(선납세금) 분개방법 |
|||
2천만원을 MMF에 투자하여 수익발생후 보통예금으로 입금된 경우, 분개방법은? |
|||
1. 용어의 정의(MMF) 'Money Market Funds'의 약자로 투자신탁회사가 고객들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구성한 다음 금리가 높은 만기 1년 미만의 기업어음(CP)·양도성예금증서(CD)·콜 등 주로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하여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만기 30일 이내의 초단기금융상품입니다. MMF는 예금의 성격과 유가증권의 성격이 혼재되어 있으나, 실무에서는 MMF를 예금 성격으로 보아 단기금융상품(제예금)으로 분개하면 되겠습니다. 2. 분개사례 ① [MMF 매입] MMF 2천만원을 매입하고(매입시 기준가격 1,014.18/ 1,000), 보통예금에서 인출하여 지급하다. : 구입좌수 19,720,365 [20,000,000 ÷ 매입시 기준가격(1,014.18)× 1,000] (차변) 제예금 20,000,000 / (대변) 보통예금 20,000,000 ② [MMF 매도] MMF 20,000,000원(구입좌수 19,720,365)을 매각하다. 매각 당시 1,000원당 기준가격은 1,030.25원으로 MMF 평가금액은 20,316,906원이며, 평가차익 316,906원(20,316,906 - 20,000,000)에 대한 이자소득세 14% 44,360원, 지방소득세 4,430원을 공제한 잔액 20,268,116원이 보통예금에 입금되다. : 평가차익 = 매각좌수(19,720,365) × [매각시 기준가격(1,030.25) - 매입시 기준가격 (1,014.18)] (차변) 보통예금 20,268,116 (대변) 제예금 20,000,000 (차변) 선납세금 44,360 (대변) 이자수익 316,906 (차변) 선납세금 4,430 |
'재테크 경제 세금 주식투자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보자를 위한 홈텍스 사업자카드 등록방법 정리 (0) | 2019.12.26 |
---|---|
초보자를 위한 면허세 종류와 금액 간단정리 (0) | 2019.12.26 |
수도권과밀 억제권역 지도 (0) | 2019.12.26 |
초보자를 위한 임대조건 신고방법 요약 (0) | 2019.12.26 |
초보자를 위한 준공공임대사업자 혜택정리 (0) | 2019.12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