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도시권 광역교통망 철도 중심으로 재편
2030년까지 철도망 2배로 확충
- 향후 10년간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 방향을 담은 「광역교통 2030」 선포-
“광역거점간 통행시간 30분대로 단축”, “통행비용 최대 30% 절감”, “환승시간 30% 감소”의 3대 목표를 제시하고,이를 달성하기 위해, ➊세계적 수준의 급행 광역교통망 구축, ➋버스․환승 편의증진 및 공공성 강화, ➌광역교통 운영관리 제도 혁신, ➍혼잡․공해 걱정 없는 미래교통 구현의 4대 중점 과제와 대도시권 권역별 광역교통 구상을 담고 있다.
- 주요 거점을 30분대에 연결하는 광역철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.
➊ 수도권 주요거점을 광역급행철도로 빠르게 연결하여, 파리, 런던 등 세계적 도시 수준의 광역교통망을 완성할 계획이다.수도권급행철도 A노선(’23), 신안산선(’24)은 계획대로 차질없이 준공하고, 수도권급행철도 B․C노선은 조기 착공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. 이를 통해, 수도권 인구의 77%가 급행철도의 수혜지역에 해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.추가적으로, 급행철도 수혜지역 확대를 위하여 서부권 등에 신규노선도 검토할 계획이다.이와 함께, 4호선(과천선) 등 기존 광역철도 노선을 개량하여 급행운행을 실시하고, 인덕원~동탄 등 신설되는 노선도 급행으로 건설하여 급행 운행비율을 현재의 2배 이상(16%→35%, ’30)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.
➋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대도시권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간다.유기적인 철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수인선(’20, 동서축), 대곡~소사(’21, 남북축) 등 동서․남북축을 보강하고, 사상~하단선(’23, 부산․울산권), 광주 2호선(’25, 광주권) 등 도시내 이동성 강화를 위한 도시철도를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.아울러, 일광∼태화강(’21, 부산․울산권) 등 기존 철도노선을 활용한 광역철도 운행으로 수송능력을 증대할 예정이다.
➌ 트램, 트램-트레인 등 신교통수단을 적극 도입해 나갈 예정이다.
성남 트램 등 GTX 거점역의 연계 교통수단 및 대전 2호선 트램, 위례 신도시 트램 등 지방 대도시와 신도시의 신규 대중교통수단으로 트램을 활용할 계획이다.또한, 도시 내부에서는 트램으로, 외곽지역 이동시에서는 일반철도로 빠르게 이동하여 접근성과 속도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‘트램-트레인’ 도입도 검토할 계획이다.
-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도로의 간선기능을 회복할 예정이다.
➊ 수도권 외곽 순환고속도로망을 조기에 완성하여 도심 교통량의 분산을 추진한다.
제1순환고속도로의 교통흐름 개선을 위하여 상습정체구간 2곳(서창~김포, 판교~퇴계원)의 복층화를 검토하고, 제2순환고속도로는 미착공 구간의 조속 착수를 통해 ’26년 전구간 개통을 추진할 계획이다.
➋ 주요 간선의 상습정체구간 해소를 위해 대심도 지하도로 신설을 검토한다.
수도권 동서횡단축 등 주요 간선도로(연구용역 중), 부산․울산권 사상~해운대(민자적격성 조사 중) 등에 지하부는 자동차, 지상부는 BRT․중앙버스차로 등 대중교통차로로 활용하는 대심도 지하도로 신설을 검토할 예정이다.
- 광역버스의 대폭 확대와 함께 서비스도 향상한다.
➊ M버스 운행지역을 지방 대도시권까지 확대하는 등 운행노선을 대폭 확충하고, 정류장 대기 없이 M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 노선으로 예약제를 확대(’22)할 계획이다.
➋ 남양주 왕숙, 인천 계양, 부천 대장 등 3기 신도시에 전용차로, 우선신호체계 적용 등 지하철 시스템을 버스에 도입한 S-BRT를 구축할 계획이다.
아울러, 청라∼강서 2단계 등 광역BRT 구축 사업을 지속 확대하는 한편, 장기적으로 BRT를 S-BRT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해 나갈 예정이다.
➌ 속도 경쟁력과 대용량 수송능력을 갖춘 고속 BTX(Bus Transit eXpress) 서비스를 도입하여 기존 광역버스 보다 이동시간을 30% 이상 단축할 계획이다.
고속 전용차로와 함께 정체가 심한 종점부 구간에는 지하에 전용차로 및 환승센터를 설치하여 이동속도를 30% 이상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용역을 거쳐 마련할 예정이다.
- 빠르고 편리한 연계․환승 시스템을 구축한다.
도심형(삼성역 등), 회차형(청계산입구역 등), 철도연계형(킨텍스역 등)으로 환승센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, 광역버스 노선을 환승센터에 연계되도록 개편하는 등 대중교통 운행체계를 환승센터 중심으로 재정비하여 환승시간을 최대 30% 단축할 예정이다.
- 교통비 부담을 경감하고 공공성을 강화해 나간다.
교통비를 최대 30% 절감할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를 ’20년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.이와 함께, 다양한 교통수단, 기간, 시간대별 요금제 도입 및 공유 모빌리티와의 연계를 검토하여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.아울러, 신도시 등 교통소외지역에 안정적 서비스 제공과 광역버스 서비스 개선을 위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(’20 시범사업)하여 정류장 대기시간과 차내 혼잡을 줄이는 등 이용편의를 대폭 향상할 계획이다.
'재테크 경제 세금 주식투자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도 재난 지원금 사용처 - 확실하게 포인트 사용이 가능한 곳에서 몰아쓰기 (0) | 2020.04.23 |
---|---|
수도권 광역철도 노선 구상안 (0) | 2020.04.21 |
금전 무상대출시 증여세 - 법인과 개인의 차이 (0) | 2020.03.29 |
기준금리가 내렸는데 대출금리는 오히려 오르는 이유 (0) | 2020.03.29 |
한은, 기준금리 0.75%로 전격인하…사상 첫 0%대 시대 (0) | 2020.03.16 |
댓글